HTML(HyperText Markup Language) 기초

본 내용은 'The Web Developer 부트캠프 2023', 'Mozilla Developer Network'를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.

1. HTML 개요

  • HTML을 작성하려면 이미지 요소, 양식 등 많은 HTML요소가 필요하다.
  • HTML의 요소는 태그(tag)를 사용하여 표시하며, 다양한 기능을 한다.
  • 시작 태그와 종료 태그를 사용하여 범위를 지정한다.
  • 태그에는 <p>, <br>, <ul>, <ol>, <li> 등 다양하게 존재한다.
  • 속성은 태그에 부여할 수 있는 작은 정보를 말한다. 속성의 동작을 제어하며 이름-값 쌍으로 나타내며, 구분은 ‘=’로 하여 시작 태그 안에서 작성된다.
<태그 속성="값">Hello</태그>

2. 제목 요소 h1

  • 제목(Heading) 6단계의 구획 제목을 나타내는 태그
  • 글자 크기를 위해 제목 태그를 사용하면 안 된다.
    • 대신 CSS나 font-size 속성을 사용하면 된다.
  • 제목 단계는 항상 h1->h2 순서대로 해야 한다. (올바른 순서가 아니어도 오류는 나지 않는다.)
  • 페이지당 하나의 h1만 사용해야 한다.
    • 여러 개를 써도 오류는 나지 않지만 h1은 단일로 사용하는 것이 모범적인 사례이다.

3. 단락 요소 p

  • 하나의 문단(Paragraph)을 나타내는 태그
  • 코드 상에서 엔터를 사용한 줄 바꿈은 인식되지 않고 공백으로 인식된다.
  • <P>요소를 사용해 문단 사이에 여백을 추가하는 것은 좋지 않은 사례이다.
    • 여분의 공간이 필요하다면 margin등의 CSS속성을 통해 적용하면 된다.

단락

4. HTML 상용구

  • HTML5를 사용하고 있다는 표식이라고 생각하면 된다.
  • VSCode에서는 !를 입력하고 Tab을 누르면 자동으로 생성된다.
  • HTML5요소 중 루트 요소(문서의 최상위 요소)라고 불린다.
  • 하나의 head에는 하나의 body가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.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>
    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>
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    <title>Document</title>
</head>
<body>
    
</body>
</html>

4-1 head

  • 기계가 식별할 수 있는 문서 정보(메타데이터)를 담는다. 정보로는 문서가 사용할 제목, 스크립트, 스타일 시트 등이 있다.
  • Head와 쌍으로 단 하나만 존재한다.

4-2 title

  • 브라우저 탭 상에 표시되는 내용을 수정한다.

Title

4-3 body

  • 모든 문서의 내용을 담고 있는 부분이다.
  • Head와 쌍으로 단 하나만 존재한다.

5. 목록 요소 ul, ol, li

  • <ul>는 정렬되지 않은 목록을 나타낸다.
  • <ol>는 정렬된 목록을 나타낸다.
  • <li>는 목록의 항목을 나타낸다.
    • 반드시 정렬 목록 ol, 비정렬 목록 ul, 메뉴 menu안에 위치해야 한다.

ulol

6. 하이퍼링크 a

  • 웹페이지, 이메일 주소, 파일 혹은 현재 페이지의 다른 위치로 연결할 수가 있다.
  • 주로 다른 페이지로 연결될 때 많이 사용한다.
  • 속성으로 href은 하이퍼링크가 가리키는 URL로 이동시켜준다.
  • VSCode에서 a를 입력하고 Tab을 누르면 자동 생성된다.
<a href="http://www.google.com">Google Website</a>

7. 이미지 img

  • HTML 문서에 이미지를 삽입할 수 있게 해준다.
  • 닫는 태그가 없다.
  • src(source)속성을 사용해야 한다.
  • width등을 사용하여 이미지 크기 조절이 가능하다.
    • 사이즈는 HTML보다 CSS로 작성하는 게 더 좋다.
  • alt속성은 접근성 면에서 유용하며 이미지가 나오지 않을 시 이미지를 설명해준다.
<img src="이미지 주소와 파일명과 확장자" width ="200px" alt="">

img

8. 주석

  • 코드를 작성할 때 개발자가 볼 수 있도록 소스의 설명이나 코드의 동작이 반영되지 않게 할 수 있다.
  • VSCode에서 ‘Ctrl’+’/’를 사용하면 된다.
<!-- 주석 내용 -->

주석

댓글남기기